공공보건의료26 우수한 공공병원 기준, 운영평가 알아보기 1.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개요 2005년 「지방의료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지방의료원에 대한 관리 권한이 당시 행정자치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이관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 체계 개편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법률 제21조(운영평가 및 지도)에 따라 2006년부터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가 처음 진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매년 실시되고 있습니다. 그 당시 보건복지부는 그와 함께 지방의료원과 적십자병원을 지역거점공공병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 개발도 착수하면서 2010년에는 지역거점공공병원 발전방안과 2013년에는 지방의료원 육성을 통한 공공의료 강화 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2.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방법 평가 체계.. 2023. 2. 8. 지역거점공공병원 정의 및 현황 1. 지역거점공공병원 정의 2020년 초 코로나19를 계기로 우리 사회 공공의료와 공공병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공공의료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변화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 공공병원 중 '지역거점공공병원'에 대해 한번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현행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공병원(공공보건의료기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제2조(정의) "공공보건의료기관"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단체(이하 "공공단체"라 한다)가 공공보건의료의 제공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여 설립ㆍ운영하는 보건의료기관을 말한다. * 참고로 우리나라의 전체 공공보건의료기관(공공병원) 수는 약 230개소입니다.(국립대병원, 지자체 소관 요양병원 등 포함) 반면.. 2023. 2. 6. 이전 1 ··· 4 5 6 7 다음